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스 분석] 위기에도 빛난 중국계 은행, 화교 자본 들여와 소형은행 인수합병

이에 따라 본보는 최근 중국계 은행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는 이스트웨스트은행의 도미닉 엥 행장을 인터뷰 한인 은행업계의 방향을 진단해봤다.〈본지 12월4일자 A-1면> 이와 함께 한인 은행업계 탄생의 롤모델이자 이민자 커뮤니티 금융기관의 대표 주자인 중국계은행의 현황을 알아보는 기획취재를 마련했다. ▷중국계 은행 현황 현재 전국적으로 50여개의 중국계 은행이 영업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미국에 거주하는 중국계 이민자가 300만명 수준인데다 LA 뉴욕 휴스턴 시카고 등의 대도시 외에도 전국 곳곳에 커뮤니티가 퍼져있어 중국계 은행 관계자들 조차 그 정확한 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남가주 일대에만 20개 이상의 중국계 은행들이 영업중이다. 이 가운데 이스트웨스트(심볼:EWBC) 캐세이(CATY) 프리퍼드(PFBC) 등 LA일대 은행과 휴스턴 소재의 메트로콥 뱅크쉐어(MCBI) 등이 상장돼 있다. 8000개가 넘는 미국 은행 가운데 지난해 12월 현재 영업중인 소수계 은행(지분 51% 이상을 흑인 아시안 히스패닉 여성 등이 소유)의 수는 229개. 중국계 은행이 소수계 은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셈이다. 중국계 은행의 자산 총계는 정확한 집계가 힘들지만 본지가 파악한 남가주 일대 19개 중국계 은행의 자산 총계는 지난 9월말 현재 325억3063만달러에 달하고 있다.〈표 참조> 지난달 폐쇄돼 이스트웨스트가 인수한 UCBH의 자산까지 합치면 자산 총계는 420억달러를 훌쩍 넘어선다. 중국계 은행들은 지난 1987년부터 미주중국계은행가협회(NACAB.us)를 구성해 어엿한 은행들의 협의체로서 주류사회에도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미국은행가협회(ABA) 소속이기도 한 이 단체에는 중국은행 대만은행 등 중화권 국가들의 중앙은행들까지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다. ▷M&A와 화교 자본 중국계 은행업계의 발전상은 인수합병(M&A)으로 요약된다. 큰 은행이 자산규모 2억~3억달러 규모의 소형은행을 매입하는 방식이 이들의 주된 성장 전략. 실제 중국계 은행 빅4로 불리던 은행 가운데 제너럴뱅크는 지난 2003년 캐세이에 합병됐으며 UCBH는 지난달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의해 폐쇄된 뒤 이스트웨스트에 넘겨졌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의 M&A가 비단 중국계 은행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국계 은행업계 사정에 정통한 한 한인 관계자는 "자신들이 원하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맞는 소형 주류은행을 인수한 케이스도 여럿 있다"고 말했다. 중국계 은행 성장을 뒷받침하는 또다른 요인은 지난 10여년간 전세계 경제를 좌지우지하고 있는 중국 자본이다. 중국 본토뿐 아니라 홍콩 싱가폴 인도네시아 등 '중화권' 국가들의 화교 자본이 미국에 입성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언어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 하지만 뿌리는 커뮤니티에 단일민족인 한인들과는 달리 여러 나라 혹은 민족들로 구성된 중국인만큼 그 안에서 나오는 갈등이 은행 내부에도 그대로 남아있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된다. 커뮤니티 내에서도 그렇지만 은행 내에서도 북경어.광둥어 등 쓰는 말에 따라 본토 출신.대만 출신.홍콩 출신.그외 동남 아시아 출신 등 출신 지역에 따라 끼리끼리 모이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자신들의 성장 기반이 되는 커뮤니티에 뿌리를 두는 것은 잊지 않고 있다. 한인커뮤니티와 마찬가지로 중국계 커뮤니티가 미국에서 이만큼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은행업계의 성장이 탄탄하게 받쳐주고 있기 때문이다. LA중국상공회의소의 체스터 청 회장은 "은행을 통해 커뮤니티의 부가 축적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중국과 아시아로부터 오는 많은 수의 신규 이민자들이 중국계 은행을 통해 아메리칸 드림을 일구고 있다"고 말했다. 염승은 기자

2009-12-07

시장 좁은 한인은행들 "소수계 틀 갇혀선 안돼"

"중국계라는 한계를 장점으로." 지난달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의해 폐쇄된 유나이티드커머셜뱅크(UCBH)을 인수하며 아시안계 최대 은행으로 떠오른 이스트웨스트은행의 도미닉 엥(사진) 행장 겸 이사장은 은행이 지금까지 성공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요인을 "소수계라는 틀을 장점으로 활용한 전략"에서 찾았다. 중국계 은행이라는 이유로 영업대상을 중국 커뮤니티만으로 한정짓지 않고 중화권 국가들과 거래하는 주류기업들로 대상을 넓힌 것이 그가 본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밝힌 은행의 성공 비결이다. 이같은 사고의 전환은 13개 은행이 한인 시장 하나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한인은행가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특히 이스트웨스트은행은 경쟁이 극심한 중국계 커뮤니티에서 인수합병(M&A)를 통해 덩치를 키우며 대표적인 소수계 커뮤니티 은행으로 성장한 만큼 한인은행가에서도 롤모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만큼 이스트웨스트은행의 행보가 한인 은행가에도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그는 "몇몇 아시안계 은행을 보면 자신들이 속한 커뮤니티만을 타겟으로 해 자신의 성장에 한계를 지우지만 이스트웨스트는 그렇지 않았다"며 "중국계 은행으로써 중화권 국가들에 대한 이해가 높다는 점을 강조 아시아 국가들과 거래하는 주류 기업들의 마음을 잡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염승은 기자

2009-12-03

"주류시장 문여니 시장포화 문제 안되죠"

지난 1992년부터 지금까지 17년간 장기집권(?)하며 자산 6억달러 규모의 은행을 200억달러 이상으로 키워낸 도미닉 엥 행장 겸 이사장을 패서디나에 위치한 은행 본점 집무실에서 만났다. "소수계라는 틀에 갇혀서는 안된다" 도미닉 엥 행장은 "커뮤니티 은행 리저널 은행 등으로 분류하는 데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적인 조직으로 자리잡았느냐 하는 것이 지론"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지론에 따라 그가 찾은 은행의 성장동력은 소수계라는 특징을 한계가 아닌 장점으로 승화시키는 것. 즉 소수계 은행이라고 스스로에 한계를 지우지 않고 이를 통해 찾아낼 수 있는 틈새시장을 효율적으로 공략했다. 그 틈새 시장은 '아시아 국가들과 사업을 하는 주류 기업들'이다. 특히 캘리포니아와 같이 중국 등의 아시아 국가와 무역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한 기업들은 해당 국가를 잘 이해하는 은행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점에 그는 주목했다. "중국계 은행이니 중화권 국가들에 대한 이해가 대형 주류은행들에 비해 월등한게 당연하다. 고객들의 선택은 자연스레 이스트웨스트가 됐다." 그의 이같은 설명은 이스트웨스트의 영업 방식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스트웨스트의 글렌데일 지점은 행원 전원이 아르메니안들로 채워져 있을 정도다. 그런 적극성과 과감성이 지금의 이스트웨스트를 만들어낸 원동력이 된 셈이다. 엥 행장은 "한인은행가도 커뮤니티의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이용해 한국과 비즈니스를 하는 기업들을 공략해 주류시장의 문을 열 수 있다면 시장포화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물론 적극성이 문제가 될 때도 많았다. 다수의 LA한인타운 인근 콘도 공사에 대출을 내줄 정도로 부동산 대출에 적극적이었던 이 은행은 주택시장 침체가 시작된 지난 2007년말부터 자산건전성에 큰 문제를 겪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의 과감성은 문제 해결 방법에서도 그대로 묻어났다. "지난해 초부터 적극적으로 자산건전성 개선에 나서 추가 담보 및 다운페이를 받았고 그래도 문제가 된다면 주저없이 손실처리를 했다. 그 결과 현재 이스트웨스트는 자산규모 대비 가장 낮은 수준의 부실자산(NPA)을 갖고 있다." 이같은 노력은 투자자들의 신뢰로 이어졌다. 이스트웨스트의 경쟁 은행인 캐세이와 비슷한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시가총액은 항상 그 은행의 2배 가까이 높다. 그는 당분간 '충분한 시간을 갖고' UCBH가 자연스럽게 이스트웨스트에 흡수되는데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그렇기에 한인커뮤니티 진출 계획은 "당분간은 어려워 보인다"고 했다. 그는 UCBH 인수를 통해 더 많아진 중국내 지점들을 돌아보기 위해 2주간 중국으로 떠났다. ■도미닉 엥은 누구? 도미닉 엥 행장은 이스트웨스트 뱅콥의 이사장이자 CEO로서, 아시안아메리칸 커뮤니티 최대 은행인 이스트웨스트 은행을 이끌고 있다. 1977년 도미, 휴스턴대학을 졸업한 뒤 ‘딜로이트&투시’에서 CPA로 근무했다. 이후 LA에서 투자회사를 운영하다 1991년 이스트웨스트의 이사로 선임됐다. 이듬해인 1992년 행장에 올랐으며, 1998년에는 이사장직도 겸임하고 있다. 1997~2007년 10년간은 연간 주당순익(EPS) 성장률 27%라는 기록을 세워 세간에 화제가 되기도 했으며, 밀켄연구소 등이 자주 강사로 초대해 강연에도 자주 나선다. 염승은 기자

2009-12-0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